식량 증산 넘어 농업 뉴딜 선도… 농진청, 100년 미래 농촌 만든다
매체 아주경제 게시일 2022-04-22
1962년 4월 출범…농진청, 식량증산이 첫 과제
신품종·기계화 기술 개발로 농업 발전에 기여
"한국판 농업뉴딜로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농촌진흥청이 올해 개청 60주년을 맞았다. 농업 발전과 농업인 복지 향상을 목표로 출범한 농진청은 60년 전 첫 과제인 '식량 증산'을 시작으로 최근 '농업뉴딜'까지 농촌 진흥과 기술 혁신을 위한 100년 미래를 내다보는 중이다.
농진청은 1962년 4월 농림부 외청으로 독립했다. 당시 정부가 농업증산 5개년 계획을 시행함에 따라 농진청도 '통일벼'와 '서울 배추' 등 신품종 개발에 성공하며 식량증산에 이바지하는 녹색혁명을 이뤄냈다. 비닐하우스 기술을 개발한 1980년대는 들판이 하얗게 물들었다고 해서 '백색혁명' 시기로 표현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대외적으로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하는 등 각종 국제 협약이 가시화되면서 무역 장벽에 부딪히기도 했다.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소속이 바뀌거나 폐지론이 거론되는 등 위기도 겪었다.
2014년 전북 전주로 본청을 이전한 뒤에는 농업·농촌 가치를 재발견하는 가치혁명 시대를 열었다. 축산업을 바이오 분야와 접목해 고소득 창출이 가능한 부가가치 산업으로 탈바꿈을 시도했다. 도시에서는 실외 텃밭과 주말농장 등 주변 환경을 정화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사업을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