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5년, 논문 <종(種)의 합성> 발표
- 다윈이 주창한 ‘진화론(進化論)’ 이외의 방법으로도 새로운 종이 생성됨을 입증
우리나라 육종 및 원예 산업 발전에 공헌
- 외국에 의존하던 채소 종자를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종자의 생산 체계 확립
- 채소를 제철에 관계없이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
꽃 산업 발전의 기초 마련
- 유전 연구를 통해 홑꽃이던 피튜니아 종자를 100% 겹꽃 종자로 육종 합성하는데 성공
- 각종 자생 식물 자원을 발굴하고 꽃 품종 개발의 토대 마련
6.25 전쟁 이후의 식량난 해결에 기여
- 고랭지를 이용한 무병(無病) 씨감자의 생산 및 재배 체계 보급
동래 중앙원예기술원의 화훼온실에서 우장춘 박사
우장춘 박사의 연구실(맨 우측 우장춘 박사)
우장춘 박사의 지도 하에 페튜니아 교배작업을 하고 있는 동래 원예고등학교 실습생
주한 미국에서 다우링 내외가 중앙원예기술원을 방문해 우장춘 박사의 설명을 듣고 있음
중앙원예기술원을 방문한 UN사령관이 우장춘 박사의 안내를 받고 있음
청년 시절의 우장춘
故 김인환
1919 ~ 1989
주요 학력 및 약력
1943년 일본 규슈제국대학 농학과 졸업
1968년 농학박사(서울대학교) 학위
1957년 대구농업대·경북대 농학과 교수
1962년 농촌진흥청 시험국장
1968년~1980년 제5대 농촌진흥청장
※ 황조근조훈장(1972), 은탑산업훈장(1975)
주요 업적
녹색 혁명(綠色革命) 성취
- 1971년 ‘통일벼’ 개발·보급에 성공하여 1977년 주곡인 쌀의 자급자족 달성을 이루고, 10a당 평균 494㎏, 4천만 석 쌀 생산을 돌파하여 세계 쌀 생산 역사상 10a당 최고
생산기록 수립
다수확 벼 품종 개발
- 지속적으로 벼 신품종을 개발하여 ‘통일벼’를 보완한 다양한 다수확 품종 개발
농업 과학 기술 보급·확산에 기여
- 농업 과학 기술이 널리 보급·확산될 수 있도록 중앙과 지방 연계 체계 확립
장학회 설립·운영을 통한 후진 양성
- 농업 과학 기술 개발·보급에 몸담고 있는 후학들을 위해 농촌진흥청에 ‘송암장학회(松岩獎學會)’ 설립·운영
1973.12.06 쌀 3000만섬 돌파 결의대회
권농일 행사(작물시험장)
권농일 행사(작물시험장, 충남청원)
김인환 농촌진흥청장 전남 방문
메탄가스 시설 시찰
쌀 3,200만석 돌파기념
한미재단4-h농장훈련에서의 김인환 청장 특강
故류달영
1911 ~ 2004
주요 학력 및 약력
1936년 수원 고등농림학교 농학과 졸업
1946년 서울대학교 농대(원예학) 교수
1972년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총재
1972년 명예 농학박사(건국대) 학위
1984년 농축수산유통연구원 창립
1990년 [한국농어민신문] 창간
※ 금탑산업훈장(1998), 건국포장(2004)
주요 업적
우리나라 농업 발전과 교육에 헌신
- 전후 낙담한 국민에게 희망과 용기 줌
- 전쟁의 폐허에서 조국 재건을 위해 ‘농민의 정신 혁명, 농업의 기술 혁명, 농촌의 생활 혁명을 성취해 복지국가 건설’을 목표로 농민 교육과 농촌 계몽에 앞장섬
- 도시민의 의식 개혁을 위한 평생교육 사업으로 ‘성천문화재단’을 설립·운영
나라꽃인 무궁화 품종 육성과 보급
- 각지에 흩어진 나라꽃 무궁화를 수집·연구하였으며 ‘한국무궁화연구회’를 창립해 무궁화 품종을 개량하여 보급
유기 농업 운동 확산에 기여
- 무분별하게 남용되고 있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폐단에 맞서 ‘한국유기농업협회’를 창립해 유기 농업 운동에 앞장섬
난 실험(1957)
덴마크-단네보르-기사훈장(1982년)
성천 류달영
재건국민운동 본부장-1
재건국민운동 본부장-2
청년 시절의 류달영
한국농어민신문
故신용화
1932 ~ 2019
주요 학력 및 약력
1955년 서울대학교 농화학과 졸업
1972년 농학박사(서울대학교) 학위
1980년 농촌진흥청 호남작물시험장장
1981년 농촌진흥청 농약연구소장
1988년 농촌진흥청 시험국장
※ 홍조근정훈장(1984), 석탑산업훈장(2012)
주요 업적
우리나라 토양 분류 체계의 근간 마련
- 전 국토에 대한 현대적 토양 조사를 최초로 실시하였고, 전국 정밀 토양도를 완성하여 우리나라 농경지에 대한 효율적·정밀 관리의 기반을 마련
- 전 국토에 대해 정밀 토양 조사 분류단위인 토양통 190개를 설정하고 토양통 설명서를 발간하는 등 우리나라 토양 분류 체계 확립
- 논, 밭, 과수원과 뽕밭 등 지목별 적성 등급 구분 기준을 토양 해설로 마련함
토양 정보의 활용 확산에 기여
- 토양 특성을 손쉽게 활용하기 위하여 1970년대 논, 밭의 토양 관리 요강을 발간 배포함
- 전국 정밀 토양 조사 등 토양 정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토양 전자지도(흙토람) 기반을 구축함
故정남규
1918 ~ 1971
주요 학력 및 약력
1941년 일본 교토대학 농업경제학과 졸업
1945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1946년 농업경제학박사(위스콘신주립대학) 학위
1957년 농사원 초대 원장
1962년 농촌진흥청 초대 청장
1963년 농림부 차관
※ 근무공로훈장(1963), 국민훈장 모란장(1971)
주요 업적
우리나라 농촌진흥사업의 초석을 마련
- 우리나라 농촌지도사업의 체계를 처음으로 세운 ‘농사교도법’ 제정과 ‘농사원(농촌진흥청의 전신)’ 창설의 중심 역할을 함
- 분산되었던 농촌지도체계를 일원화하기 위한 ‘농촌진흥법’ 제정과 ‘농촌진흥청’ 창설에 기여
효율적인 농촌진흥사업 체계 정비로 녹색혁명을 견인
- ‘시험연구’와 ‘지도사업’을 통합하여 지도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를 연구 과제화하고, 연구 결과를 신속히 보급하는 효율적인 추진 체계를 조기에 정립함
대한민국 농업의 국제 협력 활성화에 기여
- 유창한 회화 실력 및 국제적 인맥을 바탕으로 탁월한 외교 수완을 발휘하여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를 비롯한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
1958년 가을 김해시험장의 배추순도 검정. 중앙의 코트 차림이 정남규 농사원장, 왼쪽에서 두번째는 우장춘 박사
1962.4.1.농촌진흥청 현판식
1967.7월 Asian Development Bank 창설 후 아시아 국가 농업조사단장을 맡은 정남규 박사가 ADB총재 및 조사단원들과 함께 찍은 사진
1970.12월 필리핀 제1회 Asian Conference for Agricultural Credit and Coopertives의 개회식에서 의장인 정남규 박사가 필리핀 마르코스 대통령과 악수하는 장면
생활개선지도원 훈련
전체회의
현지시찰
한상기
1933 ~
주요 학력 및 약력
1957년 서울대학교 농학과 졸업
1964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조교수
1967년 식물유전육종학박사(미시간주립대학) 학위
1971~1994년 국제열대농학연구소 구근작물부장
1989년 미국 코넬대학교 식물육종학 명예교수
※ 대통령 표창(1982), 영국 기네스과학공로상(1982)
주요 업적
아프리카의 식량난 해소에 기여
- 1970년대 가난한 아프리카인들의 주식 작물인 카사바를 병에 강하고 수확성이 높도록 개량하여 보급함으로써 아프리카 식량난 해소에 기여
- 식량난 해소 등의 공로로 ‘농민의 왕’이라는 칭호와 함께 1983년에 아프리카 최초의 한인 추장이 됨
작물 개량·보급 및 유전자원 보존
- 카사바(41개국), 고구마(66개국), 얌(21개국), 바나나(3개국) 등을 개량·보급
- 각종 병 발생 등을 대비하여 카사바(3,000여 개), 얌(2,000개), 고구마(1,500개), 식용 바나나(350개) 등을 조직 배양하여 여러 나라에 보내고 유전자원을 보존함
아프리카 농업 인재 육성으로 지속적인 농업 발전에 기여
- 농업 발전을 이끌어 나갈 후대 양성을 위해 아프리카의 농업 전문 인재 700명을 육성함
20kg 정도의 얌도 있다
1983년 나이지리아 이키레 읍 추장 농민의 왕 대관식 때 Chief, King of Farmers